포스코홀딩스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7월)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POSCO홀딩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ABCQQ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 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POSCO홀딩스

2) 관련 테마 : 철강, 2차 전지

3) 액면가 : 5,000원

4) 시가총액 : 55조 6,479억 원

5) 유통주식수 : 59,601,932 (68.4%)

6) 대주주 지분율 : 9.7% (국민연금공단)

7) 외국인 지분율 : 33.95%

 

기업 개요

 포스코홀딩스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주요 사업소는 광양과 포항에 위치해 있으며 경제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기간산업이므로 국민연금공단이 대주주로 있습니다. 주요 매출 구성은 철강 부문 53%, 무역 부문 32%, E&C 8%, 기타 부문 5%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OSCO홀딩스의 자세한 분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S 등급 )

○ 포스코홀딩스 재무 종합평가

 

"철강 이익방어 + 2차 전지 기대감"

 

미국 연준이 주도하는 세계경제 긴축으로 시장에 돈이 부족해지고 투자가 줄어들며 철강 수요는 대폭 감소했습니다. 수요가 감소한다는 것은 판매가격(ASP)의 하락을 의미하고 이는 수익성 훼손으로 연결됩니다. 포스코가 2021년 대비 2022년 영업이익이 반토막 난 것은 태풍피해도 있었지만 수요감소로 인해 철강 제품의 ASP 하락이 시작되었던 것이 주요했습니다.

철강제품 가격 국내(좌), 미국(우)

위 그래프를 보시면 중국과 북미의 경기부양정책 기대감으로 반등했던 철강 ASP가 다시 조금씩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미국 연준이 하반기 추가적인 금리 인상을 예고하면서 긴축기간은 더욱 길어질 전망이고 전방 산업 업황 회복 신호는 늦어질 것이기에 철강 가격의 상승전환은 힘들다는 판단입니다.

 

하지만 포스코홀딩스의 최근 실적발표를 보면 태풍피해로 감소했던 생산량이 정상화되었고 제품믹스도 완전히 정상화되면서 고정비가 대폭 개선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따라서 전년도 대비 이익성장은 아니지만 최소한의 이익방어에는 성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지금까지 포스코의 주력 사업인 철강에 대해 얘기했지만 사실 시장과 투자자들은 철강시황에 대해 크게 관심이 없으실 겁니다. 모두가 주목하고 있는 건 2차 전지 사업이죠. 포스코홀딩스는 이차전지 소재 Value Day에서 리튬, 니켈, 양극재, 음극재의 2030년까지의 CAPA 계획 발표했는데, 리튬 42.3만톤, 니켈 24만톤, 양극재 100만톤, 음극재 37만톤으로 작년 대비 모든 분야에서 생산능력 계획을 대폭 확장했습니다.

 

2030년부터 2035년 사이에 미국과 유럽에서 내연기관 차량 판매가 금지되기 때문에 2차 전지 시장은 여러분들이 상상하는 그 이상으로 빠르게 성장할겁니다. 이는 포스코의 리튬사업 가치에 대해 시장이 주목할 수 밖에 없는 이유죠. 2023년 4분기부터 광양 리튬 정제시설이 가동되며 이익이 창출되긴 하겠지만 포스코홀딩스 규모에 어울리는 증익 기여는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합니다.

 

수요 부진에도 영업이익 5조를 창출할 수 있는 Cash Cow 철강사업과 미래를 책임질 장기적 성장 동력인 2차 전지 사업이 환상의 콜라보레이션을 구축하고 있는 포스코홀딩스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S등급을 부여하지 않은 이유는 ASP 흐름상 철강 시황의 반등이 생각보다 늦어진다는 점을 반영했습니다.

 

차트 분석 ( B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주가 133,000원까지 하락
  •  미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글로벌 지수 폭등  주가 200,000원대 상승
  •  수요 급증으로 열연가격 톤당 2000불 돌파  주가 410,000원대 상승
  •  열연가격 하락 추세 진입 및 재정 긴축으로 글로벌 경제 위축  주가 230,000원대 하락
  • 2차전지 시장 개화에 따른 리튬사업 가치 부각  주가 640,000원대 상승

2) 거래량 분석

- 포스코 창사 이후 최대 거래량 갱신하며 시장 기대감 표출

 

3) 포스코홀딩스 차트 종합평가

 

"체질전환에 따른 정당한 주가 리레이팅"

 

POSCO홀딩스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철강기업입니다. 철강산업은 유동성이 풍부해 시장에 돈이 넘쳐흐르는 시기에 철강수요가 높아지며 ASP가 상승해 많은 돈을 벌어들이지만 반대로 시장에 돈이 부족한 긴축시기에는 철강 수요가 높지 않아 수익성이 훼손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거시경제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섹터를 경기민감섹터라고 하며 패시브한 이익창출능력을 근거로 시장은 해당 기업들에게 주가 할인을 부여합니다. 철강주들의 주가 PER나 PBR이 굉장히 낮은 이유를 이제 아셨죠?

 

그런데 POSCO홀딩스는 더 이상 철강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지 않습니다. 포스코의 리튬사업에 대해 시장이 주목하기 시작했고 2차 전지 섹터 기업으로의 주가 리레이팅을 정당하게 부여받으며 주가에 프리미엄이 붙는 과정입니다. 아래 차트를 보시겠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는 철강 최대 수요국인 중국의 철강제품 가격과 매우 유사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리튬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한 22년 하반기를 기점으로 철강제품 가격과 디커플링 되어 주가가 상승하기 시작했고 이는 2차전지 섹터 기업으로 시장이 인정을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현대제철 주가 차트

현대제철은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철강기업입니다. 2차전지 모멘텀이 없는 현대제철 주가는 여전히 철강제품 가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죠. 즉, 포스코홀딩스는 체질개선이 아닌 완전한 체질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최근 포스코홀딩스가 이차전지 Value Day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2025년 리튬사업이 본격적으로 포스코홀딩스 증익에 기여하며 영업이익 10조 달성에 도전할 것이며, 2차 전지 시장의 완전환 개화가 이루어질 2030년 이후에는 42만톤의 리튬 캐파를 바탕으로 리튬사업에서만 6조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것입니다. 2030년 니켈 24만톤에서 발생하는 매출 8,000억원 ~ 1조원에 리사이클링 매출 2~2.5조를 추가 합산한다면 최대 약 10조의 매출이 2차전지 사업에서 발생할 것입니다. 

 

70~80조에 달하는 철강사업의 매출 대비해서 10조의 매출이 작아 보일 수 있지만 2022년 철강사업의 영업이익률보다 최소 1.5배에서 최대 2배까지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물론 역사적으로 광물가격의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쉽게 영업이익률을 예측하는 건 리스크가 있긴 하지만 2차 전지 시장의 성장을 100% 확정된 팩트라고 판단한다면 2차전지 핵심 광물들의 가격 변수는 예상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실적 대비 주가 PBR은 1.1배로 PBR 밴드 최상단 0.7배를 돌파해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고 있는 중입니다. 리튬과 니켈사업을 추진하는 글로벌 PEER들 "Albemarle", "Ganfeng Lithium", "BHP Group" 등 16개 기업의 평균 PBR이 2.1배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포스코홀딩스의 PBR 1.1배는 밸류부담이 크다고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주주이익에 관심이 매우 부족해 글로벌 투자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한국기업 할인율과 철강사업 할인율을 모두 합해 -30% 정도 반영한다면 평균적인 밸류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포스코홀딩스의 주가 급등은 체질전환에 따른 정당한 주기 레리이팅 과정이라고 판단됩니다. 1989년 이후 7개월 만에 연간 최고 거래량을 갱신한 지금 상승추세가 쉽게 꺾이진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고 주가가 급등한 지금 신규 매수는 편안한 심리를 유지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추천드리진 않겠으나 기존 주주분들께서는 전량 매도보다는 시장이 가고자 하는 곳이 어디인지 함께 따라가 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C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 67조 매수, 외국인 6조 매도, 기관 62조 매도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2.5조로 추산되며 이는 포스코홀딩스 시총 55조 대비 0.6%에 해당

 

3) 포스코홀딩스 수급 종합평가

 

"공매도가 하루에 5,000억?"

 

2차 전지 섹터에 개인 투자자들의 공격적인 수급이 유입되고 있는데 포스코홀딩스도 개인 투자자들이 67조를 매수하며 공격적인 매수 포지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단, 4개월 만에 포스코홀딩스 지분 19%를 팔아치우며 차익 실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수십조 원에 달하는 우량주의 지분을 이렇게 짧은 기간에 대량매각한 것은 증시 역사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경우입니다.

 

공매도 수급을 보시면 숨이 턱 막힐 정도의 대규모 공매도 수급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하루에만 최대 5,000억의 공매도가 들어오며 주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포스코홀딩스의 역사적인 거래량을 동반한 상승흐름을 깨기 위해서는 이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공매도가 유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포스코홀딩스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주당 배당금 : 11,000원
  • 시가 배당률 : 2.2%
  • 배당 지급일 : 기말 배당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를 전망해 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시황반등은 어렵겠지만 5조 원의 현금을 가져다줄 철강산업

2) 2차 전지 Value day에서 느낄 수 있었던 포스코의 자신감

3) 역사적 거래량을 동반한 강한 주가 상승은 쉽게 꺾이지 않을 것

4) 2차전지 광물 기업으로 인정받으며 정당한 주가 리레이팅 진행

 

Weak Point

1) 엄청난 규모의 일일 공매도 수급은 주가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

2) 광물은 가격 변동성이 가장 높은 상품 중 하나로 이익 추정이 매우 어려움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 포스코홀딩스 1차 목표가 : -
  • 포스코홀딩스 2차 목표가 :-

포스코홀딩스는 현재 철강기업에서 2차전지 기업으로의 가치를 인정받으며 적정 주가를 찾기 위한 주가 리레이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30년에도 철강사업에서 창출되는 이익규모가 훨씬 크기 때문에 100% 2차전지 원자재 기업의 주가 프리미엄을 받기는 어렵겠으나 글로벌 PEER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현재 포스코홀딩스의 주가는 크게 할인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 주가 상승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자리에서 매수하는 것은 손절라인 또는 대응라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규매수는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어 목표주가는 생략하겠습니다만 기존 주주분들께는 역사적 거래량을 동반한 폭발적인 상승에서 굳이 서둘러 내리실 필요 없다는 점만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최신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