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 주식 종목 분석/반도체, 전자, 전기
- 2022. 11. 24. 21:53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LG전자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으니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LG전자
2) 관련 테마 : 전기, 전자
3) 액면가 : 5,000원
4) 시가총액 : 14조 8,000억 원
5) 유통주식수 : 107,570,057(65.7%)
6) 대주주 지분율 : 33.7% (LG)
7) 외국인 지분율 : 26.61%
기업 개요
LG전자는 전 세계 가전 시장을 리드하는 기업으로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과 프리미엄화 전략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주요 사업부로는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E(Home Entertainment), VS(Vehicle componenet Solution), BS(Business Solution) 등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매출 구성으로는 H&A 37.75%, HE 19.25%, LG이노텍 연결 이익 18.72%, BS 9.55%, VS 8.89%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LG전자의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B 등급 )
○ LG전자 재무 종합평가
LG전자는 2021년 LG전자만의 독보적인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를 앞세워 주력 상품인 TV와 가전의 매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마케팅 비용 및 원가 부담이 증가하며 수익성은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2021년 1분기에 가전사업부에서만 1조 3,000억을 벌어들이며 기대감을 키웠지만 4분기에는 영업이익 3,000억을 기록하며 실망감을 안겼습니다. 또한, LG전자의 미래 먹거리로 평가받고 있는 VS 사업부는 1조에 가까운 적자를 기록하며 LG전자 실적 부진에 힘을 보탰습니다.
LG전자의 22년 실적은 1분기 영업이익 1조 5,358억, 2분기 영업이익 7,917억을 기록하며 원재료비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 증가와 물류 증가 등으로 수익성 훼손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잘 나온 것은 특허수입이 8,000억 가까이 반영된 것이며 제외한다면 2분기 영업이익 수준과 크게 다를 바가 없었습니다.
LG이노텍 연결실적을 제외하고 LG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3,116억을 기록했습니다.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 심화로 물류비와 원재료비 부담이 증가하며 매출 성장과 무관하게 수익성은 점차 하락하고 있습니다. 한가지 희망적인 점은 LG전자의 미래 성장동력인 VS사업부가 2분기부터 대규모 적자에서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투자한 보람을 느끼게 해 주었습니다. VS사업부는 2분기 608억, 3분기 961억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고성장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과 국제유가가 고점을 찍고 안정화 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원가 부담과 비용 부담은 서서히 줄어들 것으로 전망합니다. 아래 그래프를 보시면 물류비용과 원재료 가격 추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스크가 있다면 강도 높은 재정 긴축으로 프리미엄 가전 수요 둔화가 우려된다는 점인데, VS사업부의 누적 수주잔고가 80조를 돌파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기에 충분히 상쇄할 수 있는 우려라고 생각됩니다.
LG전자의 재무 건전성은 우량주 기준 최상위급이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양호한 수준이며, VS의 이익 기여도가 점차 증가하고있는 점을 반영하여 LG전자의 재무 부문 종합 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C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 주가 41,600원까지 하락
- 미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글로벌 지수 폭등 ▲ 주가 70,000원대 상승
- 프리미엄 가전 시장 개화로 수익성 대폭 성장 ▲ 주가 190,000원대 상승
- 성장 둔화 및 원가 및 비용 부담증가로 수익성 훼손 지속 ▼ 주가 90,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악화된 시장상황 및 실적 악화로 평균 거래량 수준이 대폭 감소
3) LG전자 차트 종합평가
LG전자의 주가 차트를 보면 코로나로 인해 불확실성이 급증했음에도 프리미엄 가전 브랜드화 전략이 적중하며 영업이익이 무려 70% 가까이 상승했고 시장 참여자들도 깜짝 놀라 허둥지둥 매수하며 수급이 몰려 주가는 급등했습니다. 고점에서 거래가 매수매도 거래가 잘 이뤄지며 과열을 식히는 와중에 하반기로 갈수록 수익성 훼손 징후가 강하게 드러나기 시작합니다.
LG전자의 역성장에 시장 참여자들은 다시 한번 깜짝 놀라 허둥지둥 매도하기 시작했고 주가는 다시 하락세로 재진입했습니다. 하반기로 갈수록 역성장 강도가 강해지자 반등에도 실패하고 저점을 찾아 주가는 갈길을 떠났습니다. VS사업부의 누적 잔고가 80조를 돌파하는 등 미래 먹거리에 대한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아직까지 LG전자는 가전의 실적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전사업부가 Cash Cow 사업부로서 버텨주면서 VS사업부가 성장하는 모습이 나와줘야 시너지를 일으키며 주가가 상승할 수 있는데 Cash Cow 사업부가 무너지자 VS사업부의 고성장이 묻히는 상황입니다.
다행인 건 원자재 가격과 국제 해운 요금이 하락 추세로 진입하며 수익성 회복할 가능성이 보인다는 겁니다. LG전자의 PBR 밴드도 코로나 때 기록했던 저점 부근까지 하락한 상황이므로 밸류 부담이 거의 없습니다. PER로 봐도 2022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 7배, 2023년 예상 실적 기준으로는 5배 수준에 불과한 주가이기 때문에 추세전환만 확인된다면 매수로 대응해도 되는 주가입니다.
다만 대형주의 하락추세는 우리 생각보다 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추세전환을 확인하고 매수하시는 것이 기회비용 측면에서나 매매심리 측면에서도 훨씬 유리합니다. 복잡하게 생각하기 싫으신 분들은 장기 이평선 224일선이 우상향으로 각도를 튼 시점에 매수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평선들이 충분히 내려올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주가가 하방 압박을 버틸 수 있는지를 확인해야 매수 진입 시점이 나올 것이므로 LG전자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C 등급 )
![]() |
![]()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938억 매수, 외국인이 1,112억 매도, 기관이 146억 매수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3,400억 원으로 추산되며 이는 LG전자 시총 14조 8,000억 대비 2.5%에 해당
3) LG전자 수급 종합평가
LG전자의 누적 수급 차트를 보시면 일관된 수급을 보여주는 시장 참여자가 없습니다. 따라서 시장 참여자별 시총 대비 누적 수급 규모가 매우 작습니다. LG전자의 실적 개선에 대해서 시장이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되며 VS사업부의 고성장보다는 주력 사업부인 가전사업부의 실적 부진과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를 더 크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유동성이 감소하며 LG전자의 거래량도 대폭 감소했는데 일일 공매도 비율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며 주가의 상승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최대 일일 90억까지 공매도를 투입하며 일일 거래대금의 무려 14%를 공매도 수급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LG전자의 현재 혼란스러운 상황을 수급이 잘 대변하고 있다고 보여집니다. 시장이 LG전자에 대한 믿음을 다시 갖기 위해서는 시간이 조금 필요해 보입니다. LG전자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주당 배당금 : 1,000원
- 시가 배당률 : 1.1%
- 배당 지급일 : 기말 배당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LG전자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컨테이너 운임 가격 하락 및 원재료 가격 하락 추세 진입으로 수익성 반등 할 것
2) VS사업부 누적 수주 잔고 80조 돌파, 영업이익 1,000억 돌파 예정
3) PBR 기준 역사적 저평가 구간에 진입중
4) 3분기 실적 부진에 따른 낮춰진 시장 눈높이
Weak Point
1) 적지 않은 일일 공매도 수급은 주가에 부담
2) 글로벌 재정 긴축에 따른 프리미엄 가전 수요 둔화 우려
3) 4분기 어닝 쇼크는 확실
4) 경쟁 심화로 마케팅 및 각종 비용 증가 추세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LG전자 1차 목표가 : 96,000원
LG전자 2차 목표가 : 120,000원
LG전자는 역사적으로 밴드 하단부인 PBR 0.8배를 잘 지지하던 기업이었습니다. 코로나 때 일시적으로 0.6배까지 하락했다 회복했고, 지금은 0.75배 수준까지 하락한 상황입니다. 수익성 하락이 심각하긴 하지만 주가 하락이 더 깊었기 때문에 PER로 계산해봐도 5~7배 수준으로 밸류 부담이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다만, 여전히 하락 추세에 있고 확인해야 할 지표들이 많이 남았기에 공격적인 목표 주가보다는 보수적인 목표 주가를 설정하겠습니다.
역사적 PBR 지지선인 0.8배를 1차 목표가로, PBR 밴드 평균가인 1.0배를 2차 목표가로 설정합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 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기업 정보,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투자 등급 확인
LIKEBEE(경제 및 주식 분석 전문가)
국내 400개 기업의 투자등급, 주가전망, 재무분석, 차트분석, 목표주가 확인 NAVERQQ, NAVERZZ, NAVERSUN, NAVERKING, NAVERLIKE, NAVERQQQ, NAVERZZZ, NAVERTEE, RICHQQ, RICHPP, RICHVV, ABCZZ, ABCQQ
ddomi.tistory.com
'주식 종목 분석 > 반도체, 전자,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덕전자 주가 전망 및 23년도 1분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3.01.17 |
---|---|
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2.12.12 |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및 22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11.23 |
삼성전자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11.12 |
동진쎄미켐 주가 전망 및 22년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