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 주식 종목 분석/반도체, 전자, 전기
- 2022. 11. 12. 14:48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삼성전자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으니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삼성전자
2) 관련 테마 : 반도체, 스마트폰, 가전
3) 액면가 : 500원
4) 시가총액 :375조 4,939억 원
5) 유통주식수 : 4,490,392,237 (69.4%)
6) 대주주 지분율 : 20.8% (삼성생명보험 외 16인)
7) 외국인 지분율 : 49.87%
기업 개요
삼성전자는 한국 및 CE, IM 부문 해외 9개 지역 총괄과 DS부문 해외 5개 지역 총괄, Harman 등 234개의 종속기업으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고의 글로벌 전자기업입니다. 세트사업에는 TV,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CE 부문과 스마트폰, 네트워크 시스템, 컴퓨터 등을 생산하는 IM 부문이 있습니다. DS부문에서는 D램, 낸드 플래시, 모바일 AP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반도체 사업과 TFT-LCD 및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하는 DP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주요 매출 구성은 무선 38.22%, 반도에 25.56%, 디스플레이 10.12%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성전자의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S 등급 )
○ 삼성전자 재무 종합평가
- 삼성전자는 2021년 코로나로 큰 수혜를 입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인터넷 사용량이 급증하며 IT 기업의 서버 증설 수요는 급증했고, 재택근무, 화상회의 등의 보편화로 반도체 수요는 걷잡을 수 없이 급증했습니다. 반도체 업 사이클의 수요 고점을 뚫고 크게 확장하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도래함에 따라 DS사업부의 실적은 끝도 없이 상승했으며, 코로나로 인해 스마트폰 사용량이 급증하며 갤럭시 제작 및 판매를 담당하는 IM 사업부와 디스플레이 DP 사업부도 호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삼성전자의 2022년은 '실적VS우려' 로 정리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시장은 경기 둔화로 인한 반도체 수요 둔화 및 반도체 메이커들의 공격적인 증설로 인한 공급 과다를 우려하며 주요 시장 참여자들은 반도체 섹터에서 빠르게 탈출했습니다. 그런데 삼성전자의 22년 상반기 실적을 보면 1분기 영업이익 14.1조, 2분기 영업이익 14조를 기록하며 여전히 견조한 반도체 수요와 고환율의 콜라보로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켰습니다.
하지만 반도체 메이커들의 재고는 쌓여가고 있었고 수요 둔화는 시작되었으며 ASP는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22년 3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10.9조를 기록하며 시장전망치 대비 15% 정도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반도체 부문 ASP(Average Sell Price)가 20% 가까이 하락하며 반도체 슈퍼사이클의 종료를 알렸고, 미 연준과 한국은행의 역대급 빅스텝으로 경기 둔화 우려는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직전 NDR에서 수익성 회복을 위한 인위적 감산을 하지 않고 오히려 케파를 늘려 점유율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ASP 하락으로 인한 수익성 훼손 리스크를 감당하고서라도 점유율을 유지 또는 확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경영진의 판단이 있었던 것으로 예상합니다.
삼성전자가 수익성을 포기하고 점유율 우선 전략을 선택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최고의 재무건전성이 있습니다. 타 반도체 메이커들은 혹한의 겨울을 보내기 위해서는 현금조달이 추가로 필요할 수도 있으나, 삼성전자는 Mix 효과가 매우 우수해 타 사업부에서 돈을 벌어 상쇄시킬 수 있으며 보유 현금이 넘쳐 흐르는 상황이기에 눈앞의 이익에 집중하지 않고 먼 미래를 내다 보는 선택을 할 수 있었습니다.
매크로 시장 환경이 삼성전자에게 비우호적임은 인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처럼 완벽한 제품 MIX를 통해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기업은 세계로 범위를 넓혀도 몇 기업 되지 않을 것이며, 시장의 우려와 달리 반도체 수요 저점은 이전과 비교했을때 상당히 높아진 상황입니다. 경제 및 기업 분석을 직업으로 하는 입장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번 위기는 또 어떻게 극복할지 지켜보며 예상하는 것은 나름 즐거운 일입니다.
긴 말 필요없습니다. 삼성전자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S등급으로 평가합니다.
차트 분석 ( B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 주가 42,300원까지 하락
- 미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글로벌 지수 폭등 ▲ 주가 60,000원대 상승
- 코로나로 인한 IT 부문 초 호황 시작 ▲ 주가 96,000원대 상승
- 물량을 대한민국 국민에게 넘기기 위한 대규모 언론플레이 시작 ▼ 주가 80,000원대 하락
- 반도체, 스마트폰 수요 둔화 우려, 반도체 슈퍼사이클 종료 ▼ 주가 60,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국내 시가총액 1위, 글로벌 시가총액 20위권 기업인 만큼 양호한 거래량 발생
3) 삼성전자 차트 종합평가
삼성전자의 주가 차트를 보면 반도체 슈퍼 사이클 및 IT 전방산업의 초 호황으로 코로나 특수를 제대로 즐기며 주가는 급상승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8만 원대를 돌파하자 언론에서 삼성전자 매수를 적극 추천하거나 삼성전자를 꾸준히 매수하여 부자가 된 사람을 소개하는 등 노골적으로 대한민국 국민들의 투심을 자극하며 대규모 세일즈에 나섰습니다.
이런 방식은 메이저 세력들의 굉장히 저급한 세일즈 방식이며 주가를 과매수 구간 까지 끌어올려 개인투자자들의 FOMO(fearing of missing out) 현상을 유도합니다.언론에서는 삼성전자만 사면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식의 언론플레이를 하고 실제 주식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주가가 상승을 이어가니 일반 국민들은 소외되는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고 등 떠밀리듯이 매수하게 되는겁니다.
그렇게 대한민국 국민들을 판떼기에 앉혀 무려 40~50조에 가까운 금액을 하락장 내내 매수하게 했습니다. 그 금액만큼 메이져 수급들은 안전하게 수익을 보고 탈출했으며 공매도와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 투자를 통해 추가로 천문학적인 이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물론 누가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칼들고 매수하라고 협박한 것은 아니기에 법적으로 문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 모든 것이 개인 투자자들의 심리와 성향을 파악하고 의도된 작전이었기에 도덕적인 비판은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이 부진하면서 반도체 실적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시장에 확인되면서 오히려 불안감이 해소된 느낌입니다. 오히려 악재가 드러남에 따라 주가는 바닥을 찍고 반등하고 있으며 나스닥 기술주들도 저점에서 버텨주며 반등할 준비를 하고 있는 만큼 단기 주가 반등도 기대할 수 있는 지점입니다.
결정적으로 3분기 실적 부진으로 인해 다음 분기 실적부터는 시장 눈높이가 많이 낮아짐에 따라 실적 부담도 많이 해소된 상황입니다. 결과적으로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 부진은 호재였다고 판단합니다. 현재 주가 레벨은 코로나때 근접했던 PBR 1배 수준의 주가이므로 더더욱 밸류 부담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현재 주가 반등이 추세적 반등으로 이어질지 확신할 수 없는 불안한 시장상황이고 삼성전자의 4분기 실적은 비수기+ 비우호적인 시장상황의 콜라보로 부진한 실적이 확실시 되는 상황입니다. 다만, 악재가 시장에 노출이 되었고, 현재 주가수준은 평균 PBR 1.5배 수준에 한참 못미치는 저평가 상황임을 감안하여 삼성전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C 등급 )
![]() |
![]()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5조 매수, 외국인이 3.6조 매도, 기관이 1.6조 매도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2조로 추산되며 이는 삼성전자 시총 375조 대비 0.6%에 해당
3) 삼성전자 수급 종합평가
삼성전자의 누적 수급 차트를 보시면 21년 고점 이후로 개인 투자자들의 누적 매수 포지션은 장기간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긴 합니다만 최근 반등 흐름에서 개인 투자자들과 외국인 투자자들의 물량 교환이 나와주며 수급상 반등 기대감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반도체 피크 아웃 우려로 인해 반도체 섹터 전체에 공매도가 활개를 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섹터 및 개별 종목 이슈와 더불어 코스피 지수와 연계된 선물, 옵션 등의 파생상품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복잡한 셈법에 의거하여 수급이 움직입니다. 코스피를 하락시켜 파생시장에 이익을 얻고 싶을 경우 공매도와 현물 매도를 통해 삼성전자 주가 하락을 유도해 천문학적인 이익을 거두곤 합니다.
감소추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개인 투자자의 누적 매수 포지션이 유지되고 있으며,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매일 평균 300억의 공매도가 유입되고 있는 상황임을 반영하여 삼성전자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삼성전자 공시](https://blog.kakaocdn.net/dn/wd8dr/btrQUUuwJ0T/qvZYzbfbvu2cVePkTGNjY0/img.png)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주당 배당금 : 1,500원
- 시가 배당률 : 2.4%
- 배당 지급일 : 중간+기말 배당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눈앞의 이익보다 미래를 선택할 수 있는 여유
2) 고환율로 인한 추가 환차익이 실적 부진을 상쇄하는데 기여중
3) PBR 기준 역사적 저평가 구간에 진입
4) 3분기 실적 부진에 따른 낮춰진 시장 눈높이
5) 타 반도체 메이커 대비 높은 수준의 제품 MIX 효과로 이익 방어력 타의 추종 불허
(툭하면 분할해대는 양아치 기업들은 절대 누릴 수 없는 효과)
Weak Point
1) 적지 않은 일일 공매도 수급은 주가에 부담
2) 글로벌 재정 긴축에 따른 지수 불안정성
3) 4분기 어닝 쇼크 대비
4) 반도체 수요 저점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실적 저점은 확인해야 할 것
5) 당분간 반도체 부문 ASP반등은 기대도 할 수 없는 상황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삼성전자 1차 목표가 : 70,000원
삼성전자 2차 목표가 : 80,000원
SK, 카카오 등 무분별한 액면분할을 통해 기업의 MIX효과를 사라지게 하고 주주의 이익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선택을 하는데 주저함이 없는 기업들과 삼성전자는 결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카카오뱅크, SK아이이테크놀로지 분석 참조)그렇기 때문에 삼성전자는 장기투자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신뢰가 있는 기업이라고 판단되며, 전 세계 반도체 기업중에서도 가장 안전한 투자처가 될 수 있다고 보입니다. 시장에 삼성전자에 대한 불확실성과 우려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 주가는 역사적 저점 부근에 위치해 있는 만큼 목표주가는 보수적으로 평균 PBR 1.50배로 설정하였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기업 정보,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투자 등급 확인
LIKEBEE(경제 및 주식 분석 전문가)
국내 400개 기업의 투자등급, 주가전망, 재무분석, 차트분석, 목표주가 확인 NAVERQQ, NAVERZZ, NAVERSUN, NAVERKING, NAVERLIKE, NAVERQQQ, NAVERZZZ, NAVERTEE, RICHQQ, RICHPP, RICHVV, ABCZZ, ABCQQ
ddomi.tistory.com
'주식 종목 분석 > 반도체, 전자,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전자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11.24 |
---|---|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및 22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11.23 |
동진쎄미켐 주가 전망 및 22년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2.10.24 |
DB하이텍 주가 전망 및 2022년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2.10.20 |
가온칩스 주가 전망 및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2.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