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성엔지니어링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4월)

대한민국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주성엔지니어링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 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주성엔지니어링

2) 관련 테마 : 반도체

3) 액면가 : 500원

4) 시가총액 : 8,506억원

5) 유통주식수 : 34,073,422 (70.6%)

6) 대주주 지분율 : 29.0% (황철주)

7) 외국인 지분율 : 7.67% 

 

기업 개요

 주성엔지니어링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증착공정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 및 판매를 주력 사업으로 하는 장비기업입니다. 추가적으로 태양전지 장비 사업도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전체 매출의 0.08%만 차지하고 있고, 전체 매출의 83%는 반도체 장비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나머지 16%는 디스플레이 장비 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의 자세한 분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B 등급 )

○ 주성엔지니어링 재무 종합평가

 

"가뭄에 단 비"

 

2020년 코로나 이후 전 세계가 반도체 슈퍼사이클 진입하면서 주성엔지니어링의 반도체 장비 ALD, SPD, TSD 매출이 크게 상승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가 종식된 지금 반도체 시장은 피크아웃과 함께 오랜 기간 과잉 공급으로 인해 ASP가 급락한 상황으로 시장상황이 매우 좋지 않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은 2020년 영업적자 -250억에서 반도체 투자가 활성화 된 2021년 이후 영업이익 1,000억 원대를 유지하고 있으나 2023년에는 반도체 피크아웃으로 인해 1,000억 원 유지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대형 종합반도체 기업인 IDM과 대만의 대표적인 파운드리 기업의 시스템 반도체 생산라인에 적용될 ALD(원자층증착) 장비를 납품할 예정임을 발표하면서 가뭄에 단 비 같은 소식을 전했습니다.

 

해당 소식이 더욱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은 주성엔지니어링은 매출 대부분이 메모리 반도체 장비에서 발생했는데 비메모리 반도체에 납품하면서 새로운 히스토리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비메모리 시장은 메모리 시장과 비교했을 때 약 3~3.5배 이상 규모가 크기 때문에 이번 비메모리 납품 고객사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얻어낸다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국내 반도체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결국 감산을 공식화하면서 장비분야 투자는 위축되겠지만 반도체 공급 및 수요 곡선은 빠르게 안정화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ASP가 반등한다면 머지않아 다시 장비 투자 사이클이 도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장비 투자를 50% 이상 줄인다고 한 시점에서 주성엔지니어링의 실적 성장 가능성은 0%라는 점은 반드시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은 높은 기술력과 더불어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분야에서 탄탄한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반도체뿐 아니라 솔라셀 장비에서도 서서히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역성장이 확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성엔지니어링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B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주가 4,000원까지 하락
  • 미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글로벌 지수 폭등 주가 8,000원대 상승
  • 반도체 수요 폭등에 따른 수혜 전망  주가 16,000원대 상승
  • '21년 매출 300% 이상 증가  주가 28,000원대 상승
  •  반도체, 스마트폰 수요 둔화 우려, 반도체 슈퍼사이클 종료 주가 11,000원대 하락
  • 투자 침체기에 미국, 대만 수주 성공  주가 17,000원대 상승

2) 거래량 분석

- 반도체 섹터에 거래량이 말라가던 시점에 새로운 모멘텀으로 거래량 증가

 

3) 주성엔지니어링 차트 종합평가

 

"모멘텀이 주가 리레이팅을 이끌다"

 

반도체 섹터에 강도 높은 피크아웃이 진행되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실적 폭락이 확정된 상황에서 반도체 장비주에 관심을 가질 시장 참여자는 매우 드물었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도 11,000원 ~ 12,000원 부근에서 바닥을 다지며 시장 상황이 좋아지기를 기다리는 것처럼 보였으나 최근 가뭄에 단 비 같은 수주 소식이 들려오며 ALD 세계시장 점유율 10% 달성과 더불어 비메모리 진출이라는 성과를 동시에 달성해 주가도 큰 폭으로 상승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023년 감익된 실적을 기준으로 한다면 현재 주성엔지니어링의 주가는 PER는 9~10배 정도 수준이므로 밸류 부담이 크지는 않습니다만 전통적으로 장비 섹터는 메이커들의 투자 성향에 따라 실적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 주가 프리미엄보다는 할인을 받는 섹터라는 점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또한 좋은 소식이 들려옴에도 거시경제 흐름상 주성엔지니어링의 역성장을 막을 가능성은 높지 않기 때문에 단기간에 고점 갱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습니다. 고점 갱신을 위해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대장주와 더불어 소부장주 섹터에 전반적으로 강한 수급이 들어와야 가능해 보이는데 현재 반도체 섹터 주가 흐름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큰 수급이 들어오고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주성엔지니어링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D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 494억 매수, 외국인 656억 매도, 기관 60억 매수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80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주성엔지니어링 시총 8,500억 대비 9.5%에 해당

 

3) 주성엔지니어링 수급 종합평가

 

"일반적이지 않은 수급"

 

보통 바닥권에서 횡보하다가 주가가 강하게 반등하는 경우는 대부분 메이저 수급이 강도높은 체결 강도로 주가 반등을 이끌고 개인 투자자들은 매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만 현재 주성엔지니어링 수급을 보면 개인 투자자들이 강한 매수세를 보이며 주가 반등을 이끌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장비 투자를 50% 이상 급격하게 감소시킨다고 발표한 상황에서 메이져 수급은 반도체 장비주에 큰 관심이 없어 보이나, 개인 투자자들은 해당 종목에 믿음을 가지고 투자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판단이 근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의 경우 SK하이닉스 매출에 의존하는 비중이 매우 컸는데 최근에는 중국 반도체 업체들의 ALD 발주가 증가하고 있고 최근에는 미국, 대만 등 비메모리 반도체 라인에도 ALD를 공급하며 Mix 효과가 개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SK하이닉스의 투자 중단을 극복하고 작년 기록했던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을 경신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주가 반등이 나오면서 공매도 수급의 강도는 2배 이상 강해졌습니다. 공매도 세력은 주성엔지니어링의 상승이 현재 반도체 시장 상황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따라서 주성엔지니어링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D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미정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주성엔지니어링의 주가를 전망해 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ALD 부문 세계 점유율 10% 달성

2) 미국, 중국 대만 수주로 SK하이닉스 의존증을 벗어 나는 중

3) 메모리보다 3배 이상의 규모를 가진 비메모리 시장 진출 성공

4) 삼성전자의 감산은 단기간 악재, 장기간 호재로 작용할 것

 

Weak Point

1) 급증한 일일 공매도 수급은 주가에 부담

2) SK하이닉스의 투자 중단으로 주성엔지니어링의 역성장은 확정된 사실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 주성엔지니어링 1차 목표가 : 19,000원
  • 주성엔지니어링 2차 목표가 : 21,000원

주성엔지니어링은 반도체 분야에서 점점 저변을 확대해나가고 있고 SK하이닉스의 과도한 의존증까지 서서히 극복해 가는 과정 중에 있습니다. 가장 기대대는 것은 점점 빠르게 성장해 나갈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 진출을 성공했다는 것이며, 태양광 장비 사업도 서서히 증익에 보탬이 될 전망입니다. 하지만 역성장이 확정된 기업에 높은 프리미엄을 주는 것은 리스키 한 투자일 수 있기 때문에 주성엔지니어링의 목표주가는 PER 11~12배 기준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