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8월)
- 주식 종목 분석
- 2023. 8. 14. 16:17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SKC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 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SKC
2) 관련 테마 : 2차 전지, 동박
3) 액면가 : 5,000원
4) 시가총액 : 3조 7,035억 원
5) 유통주식수 : 20,365,659 (53.8%)
6) 대주주 지분율 : 41.3% (SK)
7) 외국인 지분율 : 11.63%
기업 개요
SKC 1976년 설립된 소재전문기업으로 모빌리티, 반도체, 친환경 분야의 고부가가치 소재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2차 전지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동박 등을 생산하는 모빌리티 사업과 반도체 공정 소재를 생산하는 반도체 소재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SKC의 자세한 분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C 등급 )
○ SKC 재무 종합평가
"전 사업 부진, 희망은 미국"
SKC의 최근 2분기 실적발표에서 영업적자 -369억을 발표하며 시장 전망치였던 -85억을 크게 하회한 어닝 쇼크를 기록했습니다. 주력사업인 화학 부문에서 스프레드가 부진함에 따라 적자폭이 확대되었고 반도체 부문도 다들 알고 있다시피 최악의 혹한기를 보내고 있기에 실적이 크게 악화되었습니다. 기대감이 큰 2차 전지 동박사업에서도 중국에서 물량을 저가로 쏟아내며 ASP가 하락하고 있기에 수익을 전혀 창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030년 이후로 북미와 유럽에서 내연기관 차량 판매가 점차 금지될 것이기에 2차전지 시장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하지만 분명히 돈이 많이 되는 분야와 돈이 되지 않는 분야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2차전지 가격 비중이 50%에 달하는 양극재가 가장 부가가치가 높으며 분리막(15%), 음극재(14%), 전해액(9%) 순서인데 동박은 5%에 불과합니다. 동박 시장이 성장한다는 건 저 또한 이견아 전혀 없지만 기대감이 과도한 분들을 위해 드리는 말씀입니다.
더욱이 동박은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분야가 아니라서 중국 기업들이 손쉽게 물량을 찍어내 ASP가 하락하고 있고, 최근 전력비 인상 등이 겹치며 수익성이 크게 훼손된 상황입니다. 다행인 건 올해 최악은 이번 2분기에 정점을 찍었고 하반기부터는 SM 스프레드도 개선되고 말레이시아 동박 공장 가동률도 상승하며 실적은 점차 개선될 전망입니다.
기대할 수 있는 모멘텀을 정리해 보면 도요타통상/바르타와 MOU를 체결했는데 예상 규모는 연간 2.0~2.4만 톤이며 해당 규모는 현재 동박 판매단가 기준 매출액 기여 수준이 최대 4.0~4.8천억 원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그룹사인 SK On 외 Tesla, LGES, 삼성 SDI, Panasonic 등 비그룹사 고객들과의 공급계약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IRA 법안에서 탈중국화 전략이 구체화되며 동박이 IRA 분류기준 'Component' 급으로 상향된다면 큰 수혜를 볼 가능성도 있습니다.
중국이 음극재, 분리막에 이어 동박까지 공급과잉으로 몰아붙이고 있습니다. 분리막도 큰 위기였는데 미국이 IRA 세부조항에 분리막을 포함시켜 주면서 극적으로 살아나는 데 성공했기에 동박도 기대감을 가져볼 수 있을 것입니다. SKC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자본 대비 부채비율이 200%에 달한다는 점과 전 사업 업황이 좋지 못하다는 점을 반영하여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B 등급 )
1) 주가 분석
- 전기차 시장 개화에 따른 동박 사업 수혜 예상 ▲ 주가 140,000원대 상승
- 21년 영업이익 더블업 성공 ▲ 주가 200,000원대 상승
- 글로벌 지수 폭락 및 세계 1위 필름 사업 매각 ▼ 주가 150,00원대 하락
- 화학, 반도체 피크아웃, 2차 전지 동박 중국 공급과잉 시작 ▼ 주가 100,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주가 하락을 버텨내며 나쁘지 않은 거래량 발생 중
3) SKC 차트 종합평가
"버티는 게 중요"
SKC의 주가 차트를 보시면 가파른 하락세를 8만 원대 위에서 브레이크를 걸었고 조금씩 저점을 잡아가며 버텨주는 흐름입니다. 2022년 영업이익이 전년도 대비 50% 역성장했고 2023년 상반기에는 아예 적자전환까지 돼버린 상황이기에 주가 하락은 매우 당연해 보입니다. 현재 시장상황을 보면 3분기에도 적자를 기록할 확률이 사실 100%라고 보이며 빠르면 4분기, 늦으면 내년 1분기에 서서히 흑자전환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주가가 더 이상 추가하락하지 않고 버텨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주가가 추세전환 할 수 있는 이벤트로는 IRA 모멘텀이 가장 유력합니다. 분리막 기업들의 주가를 보면 중국 기업들의 시장 훼손으로 엄청난 주가폭락을 경험했지만 IRA 모멘텀으로 추세를 바꿔 유의미한 반등에 성공했죠.
SKC는 현재 실적 기대감은 전혀 없기 때문에 IRA 모멘텀이 가장 중요하며, 부가적으로 비그룹사와의 공급계약이 추가로 확정된다면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SKC가 2021년 수준의 영업이익을 회복한다면 현재 주가는 저평가 상태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PER가 10배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최소 50% 이상의 상승여력을 지니게 되는 거죠. 하지만 지금 상황으로는 2021년 수준의 영업이익 회복은 최소 2025년 이후를 내다봐야 할 것입니다.
주가상승에 탄력을 부여할 모멘텀이 남아있기에 매수는 유효하다고 판단되며 저점을 낮춘다면 칼 같이 끊어내는 손절이 필요해 보입니다. 손절라인이 짧고 기대할 수 있는 익절라인은 길기 때문에 손익비가 좋아 나쁘지 않은 시도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SKC의 차트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D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 565억 매수, 외국인 1,055억 매도, 기관 411억 매수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2,00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SKC 시총 3조 7,000억 대비 5.5%에 해당
3) SKC 수급 종합평가
"공매도 비율 과다"
주가가 고점에서 50% 폭락하며 공매도 세력들은 막대한 수익을 거뒀을 텐데 여전히 공매도비율이 최대 27%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화학, 반도체, 2차 전지(동박) 전부 업황이 좋지 못하다는 점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것으로 보이는데 지수가 좋지 못할 경우 지수 이상의 하락이 충분히 나올 수 있습니다. 하락이 나온다고 하더라도 이전 저점보다 저점을 높이는 추세만 유지시켜 준다면 매수관점은 유효하지만 이탈하면 칼같이 손절해야 합니다. SKC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D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없음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SKC의 주가를 전망해 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동박 부문 글로벌 점유율 22%로 세계 1위
2) 동박 부문 그룹사 외 다양한 고객사 확보 노력
3) 탈중국화에 가속화 일환으로 동박 IRA 등급 상향지정 가능성
Weak Point
1) 물적분할에 미쳐있는 SK 이므로 SK넥실리스 IPO 가능성 고려
2) 여전히 강도 높은 공매도 수급
3) 화학, 반도체, 2차 전지 전 사업 업황둔화로 회복에 오랜 시간 필요할 것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 SKC 1차 목표가 : 108,000원
- SKC 2차 목표가 : 115,000원
SKC를 단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본다면 이전 저점 이탈 시 손절 잡고 IRA 모멘텀으로 인한 주가 상승을 노려보는 것은 유효한 전략이라고 생각됩니다. 다만, 공매도 강도가 여전히 강하기 때문에 시장이 좋지 않을 때 시장 하락율을 초과하는 하락이 나올 것이므로 눌러줄 때 잡아서 10% 정도 수익을 거두는 전략을 시도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의 목표주가는 업황반등이 확인된 뒤에 다시 잡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최신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식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LS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9월) (0) | 2023.08.27 |
---|---|
한화솔루션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8월) (0) | 2023.08.18 |
한전기술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8월) (0) | 2023.08.10 |
LG에너지솔루션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8월) (0) | 2023.08.01 |
한국전력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8월) (0)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