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이치 주가 전망 및 분석(배당, 목표 주가)
- 주식 종목 분석/반도체, 전자, 전기
- 2022. 8. 12. 21:25
대한민국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비에이치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으니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비에이치
2) 관련 테마 : 아이폰, 스마트폰
3) 액면가 : 500원
4) 시가총액 : 9,632억 원
5) 유통주식수 : 24,467,461(71.0%)
6) 대주주 지분율 : 21.5% (이경화)
7) 외국인 지분율 : 21.29%
기업 개요
비에이치는 첨단 IT 산업의 핵심부품인 FPCB와 그 응용부품을 전문적으로 제조 및 공급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전문 기업입니다. 주요 거래처는 스마트폰, OLED, LCD, 카메라, TV, 전장부품 등을 생산하는 메이커들이며 애플, 삼성전자 LG전자, 삼성디스플레이등 국내외 대형 IT 제조업체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B 등급 )
1) Positive(긍정) - 매출액 증가, 영업이익 증가, 현금 증가
- 매출 1조 369억(43.8% 증가)
- 영업이익 710.9억(108.8% 증가)
- 현금 981.5억(53.3% 증가)
2 ) Negative(부정) - 부채 증가
- 부채 3,854.2억(57.9% 증가)
3) 특이사항
- 코로나로 인한 IT 수요 증가로 큰 폭의 외형 및 수익 성장
4) 종합평가
비에이치는 2021년 아이폰 13 시리즈의 성공과 폴더블 폰 출하량이 증가하며 큰 폭의 외형 및 수익 성장에 성공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IT 기기의 사용량이 급증하며 고사양 IT 기기에 대한 수요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또한, APPLE이 FPCB 적용을 확대하면서 판가 인상 효과까지 누릴 수 있었습니다. 다만, 2021년 4분기로 갈수록 IT 기기 수요 둔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며 비에이치의 실적에 대한 우려도 증가했습니다.
비에이치의 22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3,662억, 영업이익 224억으로 시장 전망치를 큰 폭으로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1분기는 IT 부품 기업에겐 전통적인 비수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이폰 13 시리즈가 1분기에만 출하량이 4,000만 대를 돌파하며 호실적을 이끌었습니다. 또한 삼성전기의 FPCB 사업 철수로 인해 올해부터 삼성전기의 기존 수주건을 흡수한 것도 매출 성장의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비에이치의 22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 3,390억, 영업이익 240억으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6% 이상 역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스마트폰 출하량이 매출에 직결되는 비에이치의 수익 구조 특성상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지만 삼성전기 FPCB 철수에 따라 국내 폴더블 스마트폰에 자사 제품 공급, 아이폰 14 시리즈 출시 예정, 우호적인 환율(1,300원)로 인해 안정적인 실적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단기적인 호실적 전망 외에도 전장용 무선충전모듈 사업 진출, BMS, Cable, 5G Cable 등 중장기 성장 모멘텀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비에이치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A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 주가 12,150원까지 하락
- 미 연준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 글로벌 지수 폭등 ▲ 주가 18,000원대 상승
- 아이폰 13 시리즈 대성공 ▲ 주가 24,000원대 상승
- IT 수요 둔화 우려 및 연준 고강도 긴축 예고에 따라 글로벌 지수 폭락 ▼ 주가 16,000원대 하락
- 삼성전기 FPCB 사업 철수에 따른 반사 이익 및 신사업 진출 모멘텀 ▲ 주가 30,000원대 상승
2) 거래량 분석
- 거래량 차트를 보면 시장의 관심은 꾸준히 유지되는 중
3) 특이사항
- 오랜 박스권 돌파 후 안착하는 과정중에 있음
4) 종합평가
비에이치의 최근 주가 흐름을 보면 삼성전기의 시장 철수로 인한 점유율 증가와 APPLE 아이폰의 프리미엄 라인 판매 비중 증가, 비에이치 EVS를 통한 신사업 진출 등의 모멘텀으로 오랜 박스권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탄력적인 상승은 아니지만 장기 이평선 224일선이 우상향으로 방향을 완전히 잡았고 큰 변수가 없다면 적정 수준까지는 주가 리레이팅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예상 매출액은 1조 5,000억, 영업이익은 1,500억 수준으로 예상하며, 예상 실적 대비 주가 PER는 6배에 불과해 밸류 부담은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또한, 2022년에는 전장 사업부의 매출 비중이 4%에 불과하지만 2023년에는 14%까지 확대 되는 등 제품 MIX 효과에 따른 이익체력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이탈, 실적 상승 및 신사업 진출, 매출 비중 확대에 따른 주가 프리미엄 반영이 생각보다 빠르지 않습니다. 비에이치의 역사적 주가 흐름을 보면 탄력적인 주가흐름을 보여주지 않았던 종목으로써 인내심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밸류 부담도 없고 성장 전망 및 신사업 진출 모멘텀도 살아있어 비에이치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A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1,779억 매도, 외국인이 1,043억 매수, 기관이 798억 매도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85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비에이치 시총 9,600억 대비 9.0%에 해당
3) 종합판단
누적 수급 차트를 보시면 개인 투자자들은 비에이치의 주가가 연이은 호실적 및 경쟁사 이탈이라는 엄청난 호재에도 주가가 탄력적으로 움직이지 않자 해당 종목 주식 보유에 대한 피로감을 느끼며 지분을 빠르게 축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기관 및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우 개인투자자에 비해 긴 호흡을 가지고 투자에 임하므로 밸류 부담이 전혀 없고 내년부터 신사업 매출이 발생되는 기업의 지분을 확대하는 건 매우 당연해 보입니다.
주가가 박스권을 돌파하자 일일 평균 공매도 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누적 공매도 수급도 시총 대비 10% 정도로 상당한 규모의 공매도 수급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IT 기기 수요에 대한 피크아웃 우려가 시장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점이 공매도 세력의 투심에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하고 투심 최악의 시기에 개인투자자들의 수급 이탈은 매우 큰 호재입니다. 거래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시기에 개인투자자들의 이탈은 주가가 적은 거래량으로도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만드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에이치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A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1 건) 및 배당 규모
1) 공매도 과열 종목 지정 : 위 수급분석에서 언급했듯이 주가가 박스권을 돌파하자 일일 평균 공매도 수량이 급증 함에 따라 비에이치는 공매도 과열 종목으로 지정되었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주당 배당금 : 270원
- 시가 배당률 : 1%
- 배당 지급일 : 기말 배당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비에이치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주요 경쟁사의 사업 이탈
2)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에 따른 매출 증가
3) 아이폰 14 출시에 따른 수혜 기대
4) 전장사업 진출에 따른 MIX 효과 기대
Weak Point
1) 적지 않은 일일 공매도 수급은 주가에 부담
2) IT 기기 수요 둔화에 따른 피크 아웃 우려 확산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비에이치 1차 목표가 : 32,000원
비에이치 2차 목표가 : 38,000원
현재 비에이치의 주가는 현재 실적 성장 및 신사업 진출에 대한 프리미엄이 반영되지 않은 수치입니다. 22년 예상 실적 대비 주가 PER는 6배에 불과한 상황이므로 밸류 부담도 전혀 없습니다. 하지만 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하고 투심 최악의 시기임을 감안하여 보수적인 PER 8.5배를 기준으로 목표가를 설정하였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다른 종목이 궁금하시다면 우측 상단 검색창을 활용하여 검색해주시고 아래 다른 종목들의 분석글 링크를 올려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소통이 필요하신 분들은 공지사항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주식 종목 분석 > 반도체, 전자,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기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08.16 |
---|---|
LG이노텍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08.15 |
캠시스 주가 전망 및 분석(목표 주가) (0) | 2022.08.08 |
KH바텍 주가 전망 및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08.02 |
LG전자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