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아알미늄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6월)
- 주식 종목 분석
- 2023. 6. 12. 20:07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삼아알미늄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 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삼아알루미늄
2) 관련 테마 : 2차전지
3) 액면가 : 500원
4) 시가총액 : 1조 3,123억 원
5) 유통주식수 : 4,968,550 (33.8%)
6) 대주주 지분율 : 41.0% (TOYO 14인), 10%(LG에너지설루션), 10%(Toyota)
7) 외국인 지분율 : 36.8%
기업 개요
삼아알루미늄은 1969년 설립된 알루미늄박 선도업체로 기존 포장재 위주 사업에서 최근 2차전지 양극 박 메이저 공급업체로 사업을 다각화, 국내 배터리3사를 고객사로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삼아알미늄의 자세한 분석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B 등급 )
○ 삼아알미늄 재무 종합평가
"2차전지 소재업체로 변신 성공"
삼아알루미늄은 담배포장지나 알루미늄 포일 등 저부가가치 상품을 주로 생산하는 기업이었습니다. 하지만 1998년 국내 최초로 2차전지 양극박 소재를 개발한 이래 2006년에는 LIB 양극단자를 연결하는 LIB Tab재를 개발했고, 2012년에는 파우치형 LIB 외장재用 Foil 개발 및 10㎛ 초박막 두께의 초고강도 LIB 양극집전체用 알루미늄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해 2차전지 소재업체로 변신에 성공했습니다.
양극재는 2차전지의 주행거리를 결정하는 핵심 소재이므로 2차전지 가격의 약 40%를 차지하는데 알루미늄박은 약 1.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간 전기차 수요 성장에 따라 배터리업체들이 공격적으로 증설에 나서면서 양극박 매출이 증가한데다 지난 해 러·우전쟁 여파로 알루미늄가격이 급등하면서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 메이커인 LG에너지설루션과 SK ON, 삼성 SDI를 주요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SK ON에서 사용하는 물량의 90%를 삼아알루미늄이 공급하고 있습니다. 현재 연간 생산캐파는 2.7만톤인데 배터리 3사가 공격적으로 증설하고 있는 만큼 삼아알루미늄도 올해 압연 라인 2기를 추가하여 4만톤까지 증설할 계획입니다. 해외 셀 메이커에서도 발주가 이어지고 있는데, 스웨덴의 노스볼트, 미국 리비안, 유럽 최대 셀 메이커인 프랑스 ACC 등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양극박 수요는 2020년 9.2만톤에서 2021년 13.5만톤 으로 증가하고 2025년까지 47.5만톤으로 5년간 연평균 38.9%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기에 삼아알루미늄의 실적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국내 알루미늄박 경쟁사 현황은 삼아알루미늄, 롯데알루미늄, 동일알루미늄, 동원시스템즈, 한국알루미늄 총 5개 사가 시장을 분점하고 있고 중국 대형 알루미늄박업체들도 국내 시장 진입을 시도함에 따라 경쟁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삼아알미늄은 현재 LG에너지솔루션 30%, SK ON 90% 이상 공급하고 있고 동일알미늄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에 주력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동일의 캐파는 삼아와 비슷한 규모로 올해 연간 3.5만톤의 생산능력을 갖출것으로 보입니다.
삼아알미늄은 전자부품, 가공사업에서 0~5% 낮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으나 2차 전지 소재업체로 변신에 성공하면서 7~8%대까지 영업이익률을 끌어올렸습니다. 양극박 매출비중이 증가할수록 영업이익률도 점점 상승할 것이며 최대 영업이익률은 12~15%로 추정합니다.
알루미늄 가격이 러시아 전쟁으로 급등한 후 하락세에 진입했다는 점은 ASP 하락 요인으로 작용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삼아알미늄과 더불어 다른 PEER들이 공격적으로 캐파를 증설하고 있다는 점은 시장 공급과잉으로 인해 ASP 하락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위 2가지가 예상 리스크라는 점 기억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자본대비 부채비율이 110%로 재무건전성이 양호하고 2차 전지 매출 비중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외형 및 수익성장이 예상되는 바, 삼아알미늄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후발주자들의 시장 진입에 따라 경쟁 과열로 인한 수익성 저하 리스크를 등급에 반영했습니다.
차트 분석 ( E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 주가 2,505원까지 하락
- 2차전지 시장 개화에 따라 성장기 진입 ▲ 주가 20,000원대 상승
- 글로벌 기업의 제 3자 배정 유상증자 참여로 기대감 상승 ▲ 주가 100,000원대 상승
2) 거래량 분석
- 20년 이후 매집거래량이 충분히 발생했기에 현재 적은 거래량으로도 폭발적인 상승 가능
3) 삼아알미늄 차트 종합평가
"혼자 질주하는 이유?"
국내 다른 알루미늄박 기업들의 주가는 조용한데 삼아알미늄의 주가만 질주하며 시장의 관심을 독차지하고 있습니다. 타 PEER들의 주가 PER는 10~20배에서 형성되어있는데 삼아알미늄의 주가 PER는 90배를 초과했습니다. 이렇게 혼자 질주하는 이유를 추정해보면 삼아알미늄의 ROE가 타 PEER 대비 높고 LG에너지솔루션과 도요타의 지분참여, 율춘화학 2차전지 파우치에 알루미늄박 독점 공급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 근거만으로 PER 90배를 설명하긴 솔직히 어렵습니다. 알루미늄박이 2차전지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대에 불과한데 아무리 시장이 성장한다고 하더라도 중국 등 후발주자들의 시장진입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실적 퀀텀점프까지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차트를 보면 20년부터 21년도까지 1,000만주를 훨씬 상회하는 또는 비슷한 초대형 거래량이 반복적으로 터지며 누군가가 충분히 매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거래로는 나타나지 않는 거래량과 차트이기 때문에 해당 종목에는 주포와 쩐주가 반드시 존재합니다. 또한 역사적 신고가 종목은 매도하지 않은 모두에게 수익을 줘야 하기 때문에 작전을 위해서는 엄청난 규모의 자금이 수반됩니다. 최소 수천억 원에서 조 단위의 금액을 회전시킬 수있는 세력이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점대비 40배 상승했고 밸류상으로도 상식적인 오버슈팅 구간을 넘어선 지금 매수금지를 권고드립니다. 테슬라가 다시 2차전지 섹터 상승을 주도하고 있기에 개인투자자들의 투심이 나쁘지 않아 세력들이 좀 더 주가를 끌고 올라갈 순 있으나 그들도 언젠가는 차익실현을 반드시 할 것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삼아알미늄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E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C 등급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 241억 매도, 외국인 117억 매수, 기관 180억 매수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없습니다.
3) 삼아알미늄 수급 종합평가
"공매도 공백을 이용?"
저점 대비 40배가 올라 조 단위에 진입한 기업의 수급에서 메이져 수급이 크게 관찰되지 않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실겁니다. 또한 해당 종목은 아직까지 공매도 금지종목이기에 공매도 공백기간을 이용해 세력들이 큰 그림을 그리지 않았을까 합리적 의심이 듭니다. 따라서 삼아알미늄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https://blog.kakaocdn.net/dn/XwkLL/btsjElFzQS1/fwJdnCn5O1o7SyTA2eC59K/img.png)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미정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삼아알미늄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글로벌 기업들의 제 3자배정 유상증자 참여
2) 포승공장 증설로 캐파 2.7만톤에서 4만톤 증가
3) 2차전지용 양극박 매출 비중 증가로 영업이익률 두자릿수로 올라설 것
Weak Point
1) 타 PEER 대비 4~5배를 초과하는 밸류 부담
2) 중국 및 국내 후발주자들의 시장진입 시도 지속
3) 알루미늄 가격 하락세 진입에 따라 ASP 하락 가능성
4) 경쟁사들도 공격적으로 증설하고 있어 공급과잉 우려 상존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 삼아알미늄 1차 목표가 : -
- 삼아알미늄 2차 목표가 : -
PER 90배라고 하더라도 근거가 충분하면 매수할 수 있습니다. 테슬라도 2020년 PER가 970배에 달했지만 현재 가파른 실적성장으로 PER 80까지 낮춘것만 봐도 기업의 현재가치에만 너무 매몰되면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삼아알미늄이 타 PEER 대비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은 충분히 동의가 가능하나 저점 대비 40배가 상승했고 PER 90배에 달하는 현재 주가에서 더 높은 목표주가를 설정하기엔 근거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아알미늄의 목표주가 설정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종목은 작전주 성향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말씀드립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최신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식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 주간 수급 분석(23년도 6월 3주차) (0) | 2023.06.23 |
---|---|
주식시장 주간 수급 분석(23년도 6월 2주차) (0) | 2023.06.17 |
선물, 옵션 만기전 수급분석(23.06.07) (0) | 2023.06.07 |
SK아이이테크놀로지 주가 전망 및 목표주가(23년도 6월) (0) | 2023.06.06 |
주식시장 주간 수급 분석(23년도 6월 1주차) (0)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