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 주식 종목 분석
- 2022. 12. 8. 22:41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한국전력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한국전력
2) 관련 테마 : 전력, 신재생에너지
3) 액면가 : 5,000원
4) 시가총액 : 12조 4,220억 원
5) 유통주식수 : 297,790,938 (46.4%)
6) 대주주 지분율 : 51.1% (한국산업은행 외 1인)
7) 외국인 지분율 : 35.76%
기업 개요
한국전력은 1982년 설립되어 1989년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입니다. 2002년 한국전력 분사 이전에는 전기 발전 및 판매에 대한 모든 사업을 총괄했으나, 현재는 한국 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 중부발전, 한국 서부발전, 한국 남부발전 등 발전 자회사가 발전을 담당하고 한국전력은 전기판매 사업만 담당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대한민국의 기형적인 전력시장 구조로 인해 천문학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한국전력의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D 등급 )
○ 한국전력 재무 종합평가
"정부의 꼭두각시, 아무것도 할 수 없다."
한국전력은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WTI(서부텍사스유) 선물이 마이너스까지 하락하자 원가절감으로 막대한 영업이익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2021년 에너지 가격은 빠른 속도로 상승하기 시작했고 전기요금은 변동이 없었기에 -5조라는 막대한 영업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전기요금의 결정 권한은 정부에 있습니다. 정부는 한국전력의 사장 임명권과 경영평과 성과급을 무기로 한국전력을 100% 완벽하게 통제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주식회사이지만 주주들을 위한 경영이 아닌 정치권의 정치이익에 따라 움직이는 꼭두각시로 전락해버린 지 오래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발전산업은 크게 원자력발전, 석탄발전, 천연가스발전, 기타 신재생 발전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과거의 전기요금 수준으로는 원자력발전과 석탄화력 발전소는 흑자 발전이었고 천연가스 발전소는 적자 발전소였습니다. 그런데 2022년 러시아의 전쟁으로 인해 유연탄 가격과 천연가스 가격은 미친 듯이 상승하기 시작하며 원가부담이 급증하자 대한 민의 발전산업은 원자력을 제외한 모든 발전소가 전기를 생산하면 생산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적자가 누적되는 상황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더욱이 정부는 친환경을 강조하며 한국전력 자회사들로부터 탄소세까지 갈취해가고 있는 웃기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의 22년 실적은 1분기 영업적자 -7조 7,869억, 2분기 영업적자 -6조 5,000억, 3분기 영업적자 -7조 5,000억을 기록했습니다. 4분기는 -10조의 영업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부채가 160조를 넘어섰고 고금리로 인해 천문학적인 이자 비용이 지출되고 있음에도 정부는 선거를 앞두고 정치이익 때문에 전기요금을 정상화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의 현재 상황은 어느 한 정권의 문제가 아니라 역대 모든 정권이 책임을 회피했기에 발생한 겁니다.
국제유가가 휘발유, 경유 가격이 오르는 게 당연한 겁니다. 전기요금도 당연히 에너지 가격을 추종해서 책정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재밌는 건 한국전력을 제외한 SK, GS, 포스코 등 민간 발전사는 에너지 가격을 추종해서 정산해주고 있습니다. 민간발전사를 전력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지난 정부의 작품이며, 그로 인해 한국전력은 매 분기 수조 원의 적자를 기록할 때 민간발전사들은 분기당 5,000억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잔치를 벌이고 있습니다.
이런 기형적인 전력산업에서 한국전력이 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습니다. 정부가 대학교를 지으라면 짓고, 건물을 팔라고 하면 팔아야 하는 숙명입니다. 이런 심각한 자본잠식 위기에도 고금리 회사채를 발행해서 돌려 막을 뿐 총선을 앞둔 지금 전기요금의 현실화는 여전히 멀어 보입니다. 한국전력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D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B 등급 )
1) 주가 분석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 주가 15,550원까지 하락
- 마이너스 유가에 따른 호실적 ▲ 주가 30,000원대 상승
- 국제유가 및 에너지 가격 빠르게 정상화 ▼ 주가 24,000원대 하락
-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 급등, 적자 확대 ▼ 주가 16,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시장 소외 주로 전락한 상황
3) 한국전력 차트 종합평가
"중요한 지지선에서 반등에 성공"
한국전력은 전기요금이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수년 내에 자본잠식으로 망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사태를 정부가 관망할 거라고는 생각하기 어렵습니다. 한국전력의 부도는 정부와 대한민국 경제가 완전히 무너질 수 있는 신호탄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국전력의 부도는 선택지에서 제외하고 판단하셔도 될 것입니다. 현재 주가는 청산가치의 0.25배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현저한 저평가라고 볼 수도 있으나 심각한 자본잠식 상태이기 때문에 리스크는 있다고 보입니다. 다만, 민간회사라면 절대로 투자해서는 안 되겠지만 한국전력은 대한민국의 최대 규모의 공기업이고 적자의 원인이 정부에게 있고 국민들이 한국전력의 적자만큼 이익을 본 것이기 때문에 리스크는 크게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될 것입니다.
아쉬운 건 한국전력의 적자 중 일부가 민간 발전회사들의 어닝서프라이즈로 환산되었다는 점입니다. 한국전력 발전자회사들은 발전 이익을 한국전력에 모두 회수당하고 있으며 정부에 탄소세까지 내야 하는 상황에 몰려서 어떻게든 발전기를 끄려 하고 있고, 민간 발전사들은 어떻게든 발전기를 돌려 천문학적인 돈을 버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한국전력의 적자 원인에서 회피하기 위해 자극적인 기사를 내며 대중의 손가락질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이 현실을 똑바로 알고 정치이익으로부터 독립된 한국전력의 경영을 지지해줘야 합니다. 그렇지 못한다면 한국전력은 평생 정치인들 낙하산용 공기업이자 매표행위를 위한 도구에 불과할 것입니다.
한국전력의 현 상황은 지속 가능한 기업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부가 결단을 내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026년부터 석탄화력발전소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집니다. 그 말은 전기요금 원가는 더더욱 증가한다는 뜻입니다. 전기요금을 하루빨리 정상화되지 않는다면 한국전력의 미래는 없습니다.
한국전력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C 등급 )
![]() |
![]() |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7억 매수, 외국인이 417억 매도, 기관이 147억 매수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40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한국전력 시총 12조 대비 3.4%에 해당
3) 한국전력 수급 종합평가
"최악의 상황은 무관심으로 이어진다"
한국전력의 수급은 평가할 것도 없습니다. 연일 최악의 상황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선거를 앞둔 정부는 역대 정부와 마찬가지로 정치이익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주주의 이익을 대변하지 못하는 주식회사는 상장해있을 가치가 없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한국전력을 외면하고 있고 수급에도 이런 상황이 잘 드러나있습니다.
한국전력의 현재 주가는 청산가치보다 한참 아래 수준이기 때문에 공매도 수급이 공격적으로 투자할 수 없습니다. 이 가격대에서 한국전력 공매도를 치기에는 코스피, 코스닥에는 위메이드 등과 같은 맛있는 공매도 맛집들이 너무나 많이 존재합니다.
정부의 발 빠른 대책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한국전력의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한국전력 공시 목록](https://blog.kakaocdn.net/dn/di4j9l/btrS6Zu95GB/WKzgYxdbB5Dbj5KdQo4410/img.png)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없음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한국전력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청산가치보다 한참 하락한 주가
2) 악으로 깡으로 버티기엔 너무 멀리 왔다. 정부는 조만간 결단할 것
Weak Point
1) 완전히 소멸된 시장의 관심
2) 선거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 정부에게 부담이 되고 있음
3) 러시아 전쟁 장기화로 높은 에너지 가격 장기화 전망
4) 민간 발전회사만 떼 돈을 버는 기형적인 전력산업 구조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한국전력 1차 목표가 : 25,000원
한국전력 2차 목표가 : 30,000원
한국전력을 투자하시는 주주분들께서는 초장기 전망으로 바라보셔야 할 것입니다. 정부의 전기요금 현실화와 더불어 러시아 전쟁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한국전력의 주가는 상승 모멘텀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전력의 목표 주가는 청산가치의 절반인 PBR 0.5배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습니다. 해당 목표 주가는 단기적인 목표 주가가 장기적인 목표 주가임을 말씀드립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아래 제 블로그 메인 페이지로 가시면 더 많은 기업 정보 및 분석자료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더 많은 기업 정보, 주가 전망, 목표 주가, 투자 등급 확인
LIKEBEE(경제 및 주식 분석 전문가)
국내 400개 기업의 투자등급, 주가전망, 재무분석, 차트분석, 목표주가 확인 NAVERQQ, NAVERZZ, NAVERSUN, NAVERKING, NAVERLIKE, NAVERQQQ, NAVERZZZ, NAVERTEE, RICHQQ, RICHPP, RICHVV, ABCZZ, ABCQQ
ddomi.tistory.com
'주식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드로리튬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 (0) | 2022.12.16 |
---|---|
금양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 (0) | 2022.12.13 |
삼성SDI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12.07 |
대한전선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목표 주가) (0) | 2022.12.03 |
OCI 주가 전망 및 22년도 하반기 분석(배당, 목표 주가) (0) | 2022.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