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신라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배당, 목표 주가)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호텔신라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깁기 글에 비해 글과 숫자가  많지만, 읽는 것만으로도 여러분의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으니 종목 매수 전  LIKEBEE를 검색 또는 즐겨찾기 등록해 분석자료를 확인해주세요.

1. 종목 분석

1) 종목명 : 호텔신라

2) 관련 테마 : 리오프닝, 면세점

3) 액면가 : 5,000원

4) 시가총액 : 2조 8,219억 원

5) 유통주식수 : 30,308,976 (77.2%)

6) 대주주 지분율 : 17.3% (삼성생명)

7) 외국인 지분율 : 13.5% 

 

 

기업 개요 

 호텔신라는 국내외 약 10여 개의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세계 3위의 글로벌 면세점 사업자의 시장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호텔신라는 프리미엄 라이프 스타일을 제공하는 럭셔리 브랜드의 대명사였지만, 중국과의 사드 배치로 인한 갈등, 코로나 팬데믹 등의 연이은 악재로 타격을 많이 받은 상황입니다. 자세한 분석은 아래 내용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재무 분석 ( C 등급 )

호텔신라 재무제표

1) Positive(긍정) - 매출액,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증가

  - 매출액 3조 7,791억 (18.5% 증가)

  - 영업이익 1,188억 (164.1% 증가)

  - 영업이익률 3.14% (9.3% 증가)

 

2 ) Negative(부정) - 자본대비 과도한 부채 비율

  - 부채 2조 795억 (자본대비 부채비율 : 360%)


3) 특이사항

  - 20년 코로나로 인한 역성장을 극복하고 21년 흑자전환 성공


4) 종합평가
 호텔신라는 2021년 코로나로 인한 대규모 적자 전환에서 벗어나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TR사업부에서 영업이익 1,200억을 기록했으며 매출의 대부분은 시내점에서 발생했습니다. 호텔&레저 사업부는 3분기부터 흑자 전환에 성공했지만 상반기 적자를 상쇄하지 못하며 연간 -100억의 영업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호텔신라의 22년 1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 영업이익 151 억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면세점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TR 사업부의  수익성이 급감했고 호텔/레저 사업 부문은 투숙율 상승에 힘입어 24억 영업흑자를 기록했습니다. 

 호텔신라의 22년 2분기 실적은 매출액 1조 1,659억, 영업이익 432억을 기록하며 시장 전망치를 상회하는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TR사업부가 경쟁 심화 및 중국의 도시 봉쇄가 지속됨에 띠리 영업이익 148억의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호텔&레저 사업부에서 코로나 종식에 따른 리오프닝 수혜를 듬뿍 받으며 영업이익 248억의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하반기로 갈수록 호텔 성수기에 진입할 것이며 면세한도도 상향 예정인 만큼 면세점 업황이 개선될 가능성은 있습니다. 다만 호텔신라가 가장 좋았던 때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중국인 아웃바운드 관광객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2분기까지는 중국의 강도 높은 도시 봉쇄가 지속되고 있고 3분기부터 차츰 완화되고 있는 상황임에 따라 업황이 개선될 여지는 있지만 빠른 속도의 회복은 기대하기 힘든 상항입니다. 

 

호텔신라의 향후 실적 전망은 중국 소비자 심리 회복과 더불어 중국인 관광객이 증가한다면 폭발적으로 실적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서울, 제주, 스테이 투숙률의 양호한 상승세로 약 1,000억 대의 영업이익에 만족해야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해외여행이 활성화된다면 내국인 매출은 감소하겠지만 중국인 관광객만 유입시킬 수 있다면 모든 악재를 상쇄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중국 봉쇄 완화 및 리오프닝 기대감을 품고 인내의 시간이 필요한 때입니다. 악재와 호재가 상존해있고 자본 대비 과도한 부채비율을 감안하여 호텔신라의 재무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차트 분석 ( C 등급 )

호텔신라 주가 차트

1) 주가 분석

  - 중국 사드 이슈로  주가 급등락 반복 80,000원 ~ 110,000원

  -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 선언  주가 60,700원까지 하락

  - 연준의 무제한 양적완화 선언으로 글로벌 지수 폭등  주가 80,000원대 회복

  - 코로나 종식에 따른 리오프닝 수혜주 부각  주가 100,000원대 상승

  - 오미크론 출현 주가 70,000원대 하락

 

2) 거래량 분석

   - 거래량이 급감하며 시장 소외 주로 이탈 중


3) 특이사항

  - 차트상 70,000원 지지 후 반등 확인 필요

 

4) 종합평가

 호텔신라의 주가 차트를 보면 중국 소비자 심리지수가 130p까지 급반등 하자 21년 5월에 100,000원 탈환에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 중국 최대 부동산 기업인 헝다 그룹의 파산과 코로나의 확산이 심각해짐에 따라 중국 소비자 심리지수는 급락했고 호텔신라의 기대감도 같이 무너지며 주가는 하락세에 진입했습니다. 

 

 여전히 중국 소비자 심리 지수는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중국 정부의 강도 높은 도시 봉쇄는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3분기부터 서서히 완화될 조짐이 보여 기대감을 품어주고 있긴 하지만 중국인 아웃바운드 관광객을 기대하기엔 아직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금 현재 2022년 예상 실적대비 주가 PER는 30배 수준으로 밸류 부담이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회복기에 진입했고 중국인 관광객이 회복만 된다면 PER는 빠르게 하락시킬 수 있는 기대감이 밸류 부담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1년 5월 이후 형성된 역배열 흐름이 여전히 유효한 상황이므로 당장 매수로 대응할 필요는 없습니다. 224일 이평선의 하락을 주가가 견딘 후 우상향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힘이 있는지 확인하고 매수하시는 것이 훨씬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유효한 매매 전략으로 보입니다.

 

정상화까지 많은 기다림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중국은 늘 우리 예상을 뛰어넘는 존재이므로 함부로 예측하거나 확신하지 마시길 바라겠습니다. 호텔신라의 차트 부문 종합등급은 C등급으로 평가하겠습니다.

수급 분석 ( B 등급 )

 

호텔신라 누적 수급
호텔신라 누적 공매도 수급

 


1) 6개월 누적 수급

  -  개인이 460억 매도, 외국인이 295억 매수, 기관이 195억 매도


2) 공매도 누적 수급

  - 누적 공매도 금액은 1,200억으로 추산되며 이는 호텔신라 시총 2조 8,200억 대비 4.5%에 해당


3) 종합판단

 누적 수급 차트를 보시면 개인 투자자들의 이탈이 눈에 띄는 상황입니다. 보통 시가총액 상위주들은 주가가 폭락하게 되면 개인 투자자의 본전심리로 인하여 개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강하게 붙는 경향이 있는데 호텔신라의 경우는 오히려 개인투자자의 손절로 주가 하락이 가속화되고 기관과 외국인 투자자가 저평가 가치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은 보통 주가가 바닥에 근접했음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호텔신라는 공매도가 적은 종목은 아닙니다. 하루 거래량의 40% 가까이 공매도가 유입된 적이 있는 것을 보면 공매도 세력은 현재 예상 실적대비 PER 30배 이상의 프리미엄을 받고 있는 상황이 맘에 들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코로나 때 형성한 최저점이 지금 주가와 멀지 않으며 최악의 시장 상황에서도 메이저 수급의 저가 양매수가 들어오고 있는 점은 수급상 분명한 호재로 보입니다. 따라서 호텔신라의 경우 유동성이 부족한 투심 최악의 시기에 최악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는 기대감을 바탕으로 수급은 매우 양호한 상황이므로 수급 부문 종합등급은 B등급으로 평가합니다.

2. 중요 공시 ( 0 건) 및 배당 규모

호텔신라 공시 목록

1) 투자 전 반드시 확인해야 될 공시사항은 없습니다.

2) 배당 규모(예상)

  • 주당 배당금 : 200원
  • 시가 배당률 : 0.2%
  • 배당 지급일 : 기말 배당

 

3. 주가 전망

 종목의 강점과 약점을 바탕으로 호텔신라의 주가를 전망해보겠습니다. 투자의 책임은 오로지 본인에게 있으므로 잘 판단하셔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Strong Point

1) 서울, 제주, 스테이 투숙율 양호한 상승세 지속 중

2) 코로나 종식에 따른 식음료 사업 매출 증가

3) 최악의 시기를 지나고 있다는 점은 분명

4) 향후 중국 도시 봉쇄 완화 시 따이공 수요 회복 가능성

 

Weak Point

1) 출혈 경쟁으로 면세점 이익률 1%대 급락

2)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객 유입이 너무 더딘 상황

3) 향후 해외여행 정상화 시 국내 매출 감소 가능성 상존

4. 목표가

재무, 차트, 수급 분석과 주가 전망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목표가를 산출하기 때문에 실제로 목표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황된 목표가는 제시하지 않습니다.

호텔신라 1차 목표가 : 78,000원

호텔신라 2차 목표가 : 87,000원

호텔신라의 2022년 영업이익은 1,000억대를 예상하고 있어 2022년 실적을 기준으로 밸류 평가를 한다면 현재 주가도 고평가로 보입니다. 하지만 주식은 미래 기업 가치를 반영하기 때문에 2023년 중국 도시 봉쇄 완화로 인한 관광객 유입과 따이공 수요 회복 반영시 약 2,500억의 영업이익이 예상되고 그에 따른 보수적인 PER 15배를 기준으로 목표가를 설정하였습니다.

 

제 분석 내용은 참고만 해주시길 바라며 투자의 결과는 오로지 투자한 본인의 책임입니다. 즐겁고 성공하는 투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다른 종목이 궁금하시다면 우측 상단 검색창을 활용하여 검색해주시고 아래 다른 종목들의 분석글 링크를 올려놓았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평가? 고평가? 그건 누가 정하는건데?

 오늘은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최대의 난제 "저평가? 고평가? 그건 누가 정하는 건데?"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해보고자 합니다. 같은 종목을 분석해도 보는 시각과 적용 변인에 따라 저평가가 될

ddomi.tistory.com

 

미래에셋증권 증권담보대출 한도, 금리, 기간

 주식투자를 하시다 보면 급하게 현금이 필요해서 주식을 팔아야 하는 순간이 오게 됩니다. 하지만 해당 주식이 손실 중이거나 향후 주식이 상승할 전망이 있을 경우엔 매도하기 곤란할 때가

ddomi.tistory.com

 

대한항공 주가 전망 및 2분기 실적 분석(목표 주가)

 대한민국 코스피 시장에 상장된 한세실업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ddomi.tistory.com

 

JYP Ent. 주가 전망 및 분석(배당, 목표 주가)

 대한민국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JYP Ent. 의 재무, 차트, 수급을 분석한 후 공시사항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주가 전망 및 목표 주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밀한 분석을 위해 다른 짜

ddomi.tistory.com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